심리학

침묵의 나선 이론 (Spiral of Silence theory)- 매스미디어에 지배적 여론 형성과 영향력

SungWookKang 2015. 7. 20. 13:37
반응형

침묵의 나선 이론 (Spiral of Silence theory) 

  • 매스미디어에 지배적 여론 형성과 영향력

 - 매스 커뮤니케이션효과에 관한 이론으로 인간들은 자신의 의견이 사회적으로 우세하고 지배적인 여론과 일치 되면 그것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그렇지 않으면 침묵을 지키는 성향이 있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매스 미디어는 지배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전파시키는 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이 곧 이론의 요지이다.

   

1) 장점
- 거시적이면서도 미시적인 설명력을 가졌다.
- 이론이 매우 역동적이다.
- 여론의 움직임, 특히 선거 기간 동안 여론의 동향을 설명해 준다.
- 뉴스 매체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중요한 문제 제기를 해 준다.

   

2) 단점
- 전반적으로 미디어의 영향력과 보통 사람들에 대해 회의적 관점을 가진다는 점이다.
- 침묵의 이유를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고 있다.
- 침묵 효과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구학적, 문화적 차이를 간과하고 있다.
- 침묵 효과에 대항할 수 있는 공동체의 힘을 평가절하하고 있다.

   

   

   

침묵의 나선 이론은 독일의 여성 커뮤니케이션학자 엘리사베스 노엘레 노이만(Elisabeth Neolle Neumann, 1974/1980)이 주장한 여론 형성 이론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매우 대중화된 이론이다.

   

   

사람들은 새로운 생각에 당면했을 때 각자 재빠른 판단을 하는데 (quick check, or quick assesment),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유사 통계적 감각기관(a quasi-statistical sense organ)에 의해 자신이 판단한 생각이 그 의견을 지지하는 것이면 더욱 자신 있게 말하고, 그렇지 않으면 침묵하여 양방의 결속이 '침묵의 나선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노엘레 노이만은 사람들이 여론의 분위기를 정확하게 감지 할 수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과학적으로 환경에 대한 감지를 하는 신체기관은 오감(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을 말하지만 노엘레 노이만은 여기에 사람들이 생각하고 느끼는것에 대해 믿을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제6의 감각기관(흔히 말하는 육감)이 있다고 믿은 것이다.

   

노엘레 노이만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이와 같은 감각적 기상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질문을 하여다.

   

1. 여러분의 생각과 상관없이 여러분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한다고 생각하는가?(현재의 분위기)
2. 지금부터 1년 뒤에도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미래 예측)

   

이 두가지 질문에 대해 32년간 서베이를 한 결과 사람들은 매우 자연스럽게 그리고 정확하게 현재와 미래의 공중의 의견이나 분위기르 평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노엘레 노이만은 어떤 생각이 상승곡선을 탈 것인가, 하향 곡선을 탈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사회적 분위기나 주변의 분위기에 대해서 끊임없이 집중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에너지를 소비를 요구하는 일이라고 한다. 그러나 자신의 의견이 남들과 다를 때 느껴지는 고립감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노엘레 노이만이 설명하는 침묵의 이유는 준통계적 감각 능력에 의한 것에서 출발하여 두려움과 동조성(conformity), 타인의 판단 능력에 대한 의심 등이 있다. 고립의 두려움은 침묵의 나선 효과를 가속화시키는 원심력이라고 설명한다.

   

침묵의 나선이론은 심리학자 솔로몬 애시(Solomon Asch)의 유명한 '동조연구(conformity research)'에 의존하고 있다. 애시는 사람들이 인지된 집단 압력에 굴복하여 자신들이 확실하게 믿고 판단하는 것조차도 거부한다고 주장하였다.

   

동조 이론(conformity theory) : http://sqlmvp.kr/140190334925

   

   

   

노엘레 노이만에 의하면 사람은 고립을 피하기 위해서라기보다 승자와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한 갈망에서 동조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예를들면 선거가 끝난후 실제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승자에게 투표했다고 응답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행위는 뒤늦게 승자에 편승하려는 시도나 반사된 영광을 취하려는 시도라기 보다 가치가 적재된 어떤 이슈로부터 벗어나 있음으로써 받게 되는 사회적 오명을 피하기 위한 방어 전략이라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판단 능력에 대한 의심 역시 침묵을 가속화시키는 한 요인이다. 이로 인해 다수가 공유할 수 있는 아이디어이지만 사람들이 말하기를 꺼려함으로써 그 지위가 소수자의 지위로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노엘레 노이만은 이것을 '다원적 무지(pluralistic ignorance)' 효과라고 이름 붙였다. 즉 다수의 사람들이 실제와는 반대되는 의견의 방향으로 강하게 믿게 되는 어리석은 상황이 초래된다는 것이다.

   

침묵의 나선(소용돌이) 속에 여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매스 미디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에 의한 환경의 평가라는 측면에서 여론은 두가지 원천을 갖고 있다. 하나는 매스 미디어의 내용이며 다른 하나는 환경에 대한 개인의 직접관찰이다.

   

노엘레-노이만에 의하면, 사람들은 개인적 영역 밖의 문제에 대해서 사실을 알기 위해 또는 의견의 기후를 알기 위해 거의 전적으로 매스 미디어에 의존한다. 오늘날 매스 미디어는 일반 대중의 지배적인 공공 정보원이다. 그것은 어디에나 존재하여(편재성) 대중의 눈과 귀로 작용한다. 또한 오늘날의 매스 미디어는 어느 사회에서든지 독점적으로 단일한 목소리를 내고 있고(협화성), 또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유사한 메시지를 반복하고 있다(누적성).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오늘날의 매스 미디어는 그 어느 때보다도 강력하다. 

   

[참고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622&docId=1526325&mobile&categoryId=388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137&docId=61838&mobile&categoryId=113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