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85

model Database 손상시 발생하는 영향 및 복구 방법

model Database 손상시 발생하는 영향 및 복구 방법 · Version : SQL Server SQL Server에서 사용되는 system database에는 master, model, msdb, temp 4가지가 있다. master 경우 SQL Server에 대한 속성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요성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model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model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때 어떤 영향이 있는지, 그리고 복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model 데이터베이스는 SQL Server 인스턴스에서 생성된 모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템플릿으로 사용된다.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면 데이터베이스 옵션을 포함하여 model 데이터베이스 전..

In-Memory OLTP 사용시 메모리 할당량 초과 오류

In-Memory OLTP 사용시 메모리 할당량 초과 오류 · Version : SQL Server 2014, 2016 SQL Server 에서 In-Memory OLTP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에러로그에 기록되어 있다면 현재 적용되어 있는 In-Memory 용량을 초과한 것이다. [INFO] HkDatabaseTryAcquireUserMemory(): Database ID: [7]. Out of user memory quota: requested = 131200; available = 74641; quota = 34359738368; operation = 1. 오류 로그에 기록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requested = 131200 : 요청된 바이트 수· available = 746..

SQL Server 2016 쿼리 실행에 대한 각 스레드(오퍼레이터) 성능 통계

SQL Server 2016 쿼리 실행에 대한 각 스레드(오퍼레이터) 성능 통계 · Version : SQL Server 2014 SP2, 2016 SQL Server 2016에서 쿼리 성능 문제를 해결할 때 참고 할 수 있는 몇 가지 정보가 추가 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라이브 쿼리 통계 이다.· SQL Server 2016 라이브 쿼리 통계 : http://sqlmvp.kr/220453033961 하지만 아직도 많은 쿼리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트릭은 부족한 편이다. 이번에 소개하는 기능은 showplan XML을 활성화하고 쿼리를 실행하였을때 각 스레드(오퍼레이터)에서 실행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SQL Server2014까지는 쿼리 실행결과 행결과를 반환하지만 스..

Multisubnet환경의 AG 그룹에서 링크드 서버 사용시 주의점

Multisubnet환경의 AG 그룹에서 링크드 서버 사용시 주의점 · Version : SQL Server 2012, 2014, 2016 SQL Server 2012부터 도입된 가용성 그룹(AG)은 SQL Server에서 제공할 수 있는 최고의 가용성을 보장하지만 구성이 까다로울 수 있다. 특히 다중 서브넷 환경에서 장애 조치를 구성하는 경우 예상치 못한 문제를 많이 겪을 수 있다. 필자 또한 단일 서브넷에서의 AG 경험은 있었지만 다중 서브넷 환경에서 구성 및 운영은 처음이어서 (Cloud VM으로 다중 서브넷(Multi Region구성) 다양한 이슈를 겪고 있다.(기술적 이슈는 아님) 이번 이슈는 Multisubnet AG구성을 구성한 환경에서 링크드 서버를 구성할때, Native Client를 사..

SQL Linux에서 Job Agent 설치

SQL Linux에서 Job Agent 설치 · Version : ubuntu, SQL Server Linux SQL Server Linux에서Job Agent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SQL Server Job Agent는 반복적인 작업을 예약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SQL Linux Job Agent를 설치하기에 앞서 update 명령을 사용하여 설치된 패키지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sudo apt-get update 패키지 동기화가 완료되면 아래 명령을 사용하여 SQL Server vNext 의 최신 버전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mssql-server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update 명령을 사용하여 다시 한번 최신 버전을 동기화 ..

SQL Linux에서 Windows SQL 백업 파일 복원

SQL Linux에서 Windows SQL 백업 파일 복원 · Version : ubuntu, SQL Server Linux Windows SQL Server에서 생성한 백업 파일을 Linux SQL 에서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기본적으로 Windows SQL Server에서 수행한 백업에서 Linux SQL Server에서 복원하는 방법은 Windows와 거의 유사하다. 다른점은 Windows와 Linux는 디렉터리 구조가 다르므로 RESTORE 명령과 함께 MOVE 옵션을 사용하여 디렉터리 경로를 입력하면 된다. (Windows에서도 물리적 위치를 변경할 경우 move 명령을 사용한다.- 결국 복원 방식은 동일함.) 편의상 실습은 SQL Linux에서 Adventurework2014.bak..

Linux에서 Network I/O 확인

Linux에서 Network I/O 확인 · Version : ubuntu SQL Server Linux 버전 출시로 MS SQL DBA분들이 Linux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졌다. 이번 팁에서는 Linux에서 SQL Server를 사용할때 알아두면 좋은 리눅스 팁을 공유한다. 이번 포스트는 Linux에서 Network I/O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netstat]네트워크 통계의 약자인 netstat 명령어는Windows 사용자에게도 잘 알려져있는 명령이다. 사용방법은 Windows와 거의 동일하지만 Linux에서는 이 명령을 사용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netstat -i -i 옵션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나열한다. 이 명령을 사용하면 인터페이스 이름과 보내고 받은 패킷을 확인할 수 있다..

SQL Linux에서traceflag 활성화

SQL Linux에서traceflag 활성화 · Version : ubuntu, SQL Server Linux SQL Server Linux에서traceflag 활성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기존 Windows 의 SQL Server에서 추적 플래그를 사용하려면 아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DBCC Traceon (traceflag, -1) (https://docs.microsoft.com/en-us/sql/t-sql/database-console-commands/dbcc-traceon-transact-sql)· SQL Server Configuration manager SQL Linux에서 추적플래그를 전역으로 활성 또는 비활성화 하려면 mssql-conf 라는 SQL Se..

SQL Linux에서 dump file 위치 변경

SQL Linux에서 dump file 위치 변경 · Version : ubuntu, SQL Server Linux SQL Server Linux에서 dump file 위치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Dump file 에 대한 경로 변경은 /opt/mssql/bin 폴더에 있는 mssql-conf 스크립트 내용을 변경하여 dump file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덤프 디렉토리는 SQL Server를 설치할때 설정된 /var/opt/mssql/log 이다.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여 해당 디렉토리에 대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sudo –lrt /var/opt/mssql/log 이번 실습에서는 /tmp/dump 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dump file의 경로를 변경한다. 우선 아래 스크..

SQL Linux에서 Port 변경

SQL Linux에서 Port 변경 · Version : ubuntu, SQL Server Linux SQL Server Linux에서Port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SQL Linux의 경우도 기본적으로 1433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보안 또는 다른 이슈로 포트 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이슈가 있을때 /opt/mssql/bin 폴더에 있는 mssql-conf 스크립트 내용을 변경하여 Port 를 변경할 수 있다. SQL Linux에 접속하여 root 권한을 획득 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기본포트가 1433인것을 알고 있지만 실제 사용하는 포트를 확인하기 위해 netstat 명령을 사용하여 서버에서 실행중인 모든 연결을 확인한다. sudo su netstat -tulpn 기본적으로SQL Ser..